[스크랩] 차의 유래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
차는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보고 중국차의 유래가 일반적으로 차의 유래라고 보면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당나라 육우(陸羽)가 쓴 [다경(茶經)]에는 [신농(神農)의식경(食經)]에 차를 오래 마시면 사람으로 하여
금 힘이 있게 하고 마음을 즐겁게 한다고 하였으므로 신농 때인 BC2737년경에도 차가 기호음료로서 마
셔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농은 중국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고 백 가지 풀을 맛보아 약초를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중국의 전한(前漢)시대인 BC59년의 노비매매문서인 동약에는 차를 달이고 차를 산 내용이 남아있기에
신화의 내용을 떠나 적어도 그 시대에는 차가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류가 차를 마시게 된 것은 어린 찻잎을 먹어보아 해가 없고 특별한 효능이 있으므로 식용이나 약용으
로 쓰이다가 저장법이 발달하여 기호음료로 쓰였을 것이므로, 음료차의 유래는 농경사회의 식생활 문화
와 더불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영선-한국다문화) 발췌
신농씨(神農氏)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이야기로 중국의 전설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인 기원
전 2737년에 신농씨(神農氏)가 차를 처음 마신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신농씨는 백성들에게 농경과 목축
을 처음 가르쳤다는 머리가 소의 모습을 한 고대 중국의 황제입니다. 신농씨는 산과 들에서 나는 여러 식
물을 직접 먹어 보면서 먹을 수 있는 것을 가려내었습니다. 그러던 중 독초에 중독되어 차나무 밑에서 쉬
면서 끙끙 앓고 있었는데 떨어진 나뭇잎을 씹어 먹자 정신이 들었다는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차를 처음
에는 먹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실제로 중국차에 떡차(餠茶)가 있고 차의 원산지로 생각되는 중국 운남
성(雲南省) 일대에 차를 발효시켜 먹는 소수민족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처음에는 약초로 먹다가 나
중에 끓는 물에 넣고 마시게 된 것 같습니다.
또다른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농씨는 위생을 생각해서 백성들에게 먹을 물을 모두 끓여서 마시라
는 칙령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변경 지방을 순시하던 중 차나무 그늘에서 쉬었고 하인은 물을 끓이고 있
었습니다. 우연히 한 나뭇잎이 떨어져 하인이 끓이는 물 속에 빠졌습니다. 그러자 물의 색이 변하면서 좋
은 향기가 풍겼습니다. 이를 보고 신농씨가 마셔 보니까 맛이 좋았습니다. 이렇게 해서 차를 마시게 되었
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도의 전설에 따르면 석가모니가 처음 먹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몇 년 동안 잠자지 않고 명상
을 하는데 졸음이 자꾸 와서 옆의 수풀에서 잎사귀를 따서 씹자 정신이 맑아지고 피로가 사라졌다고 합
니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자리는 보리수 아래이지만 깨달음을 얻기까지 수도하도록 도와준 나무
는 차나무인 셈입니다. 이것이 사실인지는 모르지만 차는 불교와 함께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 일대로
퍼져나갔습니다. (홍차나라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