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한, 중, 일의 다도철학

비 청 2009. 1. 17. 15:40

 

 

 한국의 다도철학

 

 1. 차는 선(禪)이다.

선(禪)이란 독특한 수행길이다. '선'이란 사원에서 사용하는 특수한 용어로서 진리를 체득하고자 하는

방편의 문으로, 고요히 생각한다고 하는 정려(靜慮), 도는 생각하여 닦는 사유수(思惟修), 또는 적멸(寂

滅), 한마음의 극치라고도 한다.

차(茶)와 선(禪)이 같다는 것은 선(禪)의 삼매경에 들어 대오각성(大梧覺惺)하는 길이나 차의 삼매에 들

어 묘경을 깨닫는 것이 한가지라는 뜻, 즉 다선일여(茶禪一如)인 것이다.

 

 2. 차는 맛이다.

멋이란 인간사고의 언행이 이상의 경지에 이르러 있고 품위가 있고 운치가 있어 속되지 않고 사려 깊은

것을 말한다. 멋지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한이 없다. 그래서 사람들의 재화를 들여 멋있게 살고 싶어 가

옥을 아름답게 장식하고 고상한 취미를 배우기에 여념이 없다.

사람이 맨먼저 움직이면 배고픔을 말하는 것이요, 그 다음은 안일과 행복을 찾는 일이라고 한다. 그래서

 인간들은 많은 취미 생활을 만들어 냈고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차 생활이다.

우리 조상들은 풍류를 아는 민족이었다. 그래서 산자수면(山紫水明)한 곳이나 명승지에는 자그마한 정

자를 세우고 꽃과 나무를 가꾸며 뜻이 있는 선비들과 함께 호연지기를 키웠으며 정신적 평안과 육체적

안락을 함께 도모하였으며 이것은 아름다움의 극치와 인간이 바라는 최고의 풍미이다. 이러한 생활이

차의 생활이요, 이를 얻고자 하는 정신이 차의 정신이다.

 

 3. 차는 절개이다.

절개란 선비의 굳은 충정이나 부녀자의 정절, 또는 예의범절을 말한다. 차가 선비의 굳은 충절과 같다는

 말은 차나무가 상록수로서 추운겨울의 눈보라를 이겨내고 봄을 맞는 세한(歲寒)의 정이 잇듯이 선비가

 굶주림과 출세의 유혹을 물리치고 절의와 기개를 지키는 꿋꿋한 정신이 서로 같은 듯이 있기 때문이며,

부녀자의 정절과 같다는 말은 여자가 한번 출가해서 한 남편을 섬기는 것이 차나무가 태어난 땅을 옮기

지 않는 것과 같다는 것이니 차나무는 옮겨 심으면 잘 죽기 때문이다.

그래서 옛부터 선비의 집안에 차가 떨어지면 부끄럽게 여겼고, 임금도 공을 세운 신하에게 차를 예물로

하사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선비의 제례상에는 차를 올리는 것이 상례였다.

 

 

 중국의 다도철학

 

중국의 다도 철학적 이념을 볼 수 있는 부분은 주희가 다미(茶味)를 가인괘(佳人卦)로 본 것과 차의 덕

(德)을 언급한 내용들이다. 그리고 육우가 다견(茶經)에서 "차는 행실이 정성되고 검소의 덕이 있는 사

람에게 가장 알맞다." 고 하여, '검덕(儉德)'을 중요시한 내용이 있다. 그 후 북송의 휘종(徽宗)황제가 쓴

 대관다론에는 담박하고 간결하여 고요한 운지를 숭상 받는다고 하였다. 여기서 '다례정싱'을 들기를

'검(儉), 청(淸), 화(和), 정(靜)'이라고 했다.  '검'은 검소, '청'은 청렴결백을 뜻하며, '화'는 화목, '정'은

고요한 경지를 의미한다. 이것을 철학적으로 해석하기를 '청'은 마음에 잡념이 없어 고요함이며, '화'는

중용의 도를 말하며, '정'은 불교의 선(禪)과 같은 것으로 진심으로 노력하여 성불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일본의 다도철학

 

일본의 다도는 불교사상이 바탕이 되었다. 그것은 '와비', '쓰우끼', '화경청적(和敬淸寂)의 화친사상' 등

으로 나타난다. 일본 다도늬 화친(和親)사상은 센큐리가 정한 '사규(四規)'에서 나온 것으로 그것은 네

가지 규범인 '화, 경, 청, 적'을 뜻한다. 이는 다실에서 주객이 상응(相應)하여 화친(和親)함이 중요하다

는 뜻이다. 화경청적은 바람직한 다실의 분위기로 정한 것이 발전하여 다도의 목표이자 다도의 정신이

되었다. '화(和)'란 찻자리의 주인과 손님들이 화목하며, 동시에 화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고, '경(敬)

은 주인과 손님 모두가 각기 불성(佛性)을 지닌 인격체로서 존중함이다. '청(淸)'은 물직적­­, 정신적욕심

을 떨치고 마음을 깨끗히 하여 마음의 자유로운 경지에 들며, 다구의 청결을 중요시 한다는 뜻이며, '적

(寂)'은 공간적 고요함과 적연부동(寂然不動)의 심경, 혹은 열반의 세계를 뜻한다.

 

 

 

 

[출처:원광디지털대학교]

       

 

 

 

출처 : 중국보이차연구회
글쓴이 : :*:茶鼎 :*: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