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ㅡ바람따라/ 복어&생선회

[스크랩] 복어종류

비 청 2009. 4. 14. 21:53
 
분 포 :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중부 이남, 황해, 동중국해.

서식장 : 바깥바다의 중층이나 저층에 주로 서식하며, 내만으로 잘 들어오지 않는다.
 
 
습성과 서식처 :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는 8월 중순경 청도~격렬비열도에 서식하는 어군은 9~10월경 황해중부로 이동하고, 12~2월경에는 제주도 서방 해역까지 남하하여 월동하다가 봄이 되면 다시 북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 란 : 산란기는 4~5월이며, 성숙연령은 만 4년생 전후로 추정된다.
 
성 장 : 양식된 것은 만 3년까지는 자주복과 같은 성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부터는 자주복보다 성장이 떨어지며, 전장 50cm.
 
식 성 : 순동물성 식성으로 새우류, 게류를 주로 먹으며, 그외 오징어류, 어류, 조개류 등을 포식한다.
 
독 성 : 살과 껍질에는 독이 없으나, 난소, 간장에는 강독, 또 장에도 독성이 있으며, 이 독성은 지역, 개체 및 계절에 따라 차이가 크다.
 
분 포 :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혹카이도 이남, 황해, 동중국해.

서식장 : 바닥이 사니질 또는 자갈 모래인 해역의 저층에 주로 서식한다.
 
 
습성과 서식처 : 서해안의 경우 여름철 서해 연안에 있던 무리는 9~10월에는 황해 중앙부로 이동하고, 그후 12월 이후에는 제주도 서방 해역으로 남하하며, 1월에는 더욱 남하하여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면 북쪽으로 이동한다.
 
산 란 : 산란기는 3~5월이며, 산란장은 연안의 만 입구간 섬사이의 조류가 빠른 곳으로 수심이 20m 정도 되고, 바닥이 자갈이나 모래, 돌, 바위 등인 곳에 산란한다. 암컷은 만 3년생 (전장 40cm 전후)부터 일부 산란에 참여하지만 보통 만 4년(전장 45
cm)이 되어야 대부분 산란에 참여하고, 수컷은 암컷보다 1년 빨리 성숙하며, 포란수는 전장 54cm이면 약 150만개.
 
성 장 : 부화 후 만 1년이면 전장 25.0cm, 2년이면 32.2cm, 3년이면 42.5cm, 4년이면 47.6cm, 5년이면 52.5cm로 자라며, 전장 75cm, 수명은 10년.
 
식 성 : 어릴 때에는 작은 어류를 주로 먹고, 그 다음 새우류, 게류, 오징어류 등을 먹으며, 성어가 되면 새우류, 게류, 어류를 먹고, 수온 15도C 이하에서는 전혀 먹이를 먹지 않으며, 10도C 이하에서는 바닥의 모래 속에 숨어 버린다.
 
독 성 : 계절이나 개체, 지역 등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살과 껍질에는 독이 없고, 난소, 간장 등 내장에는 강한 독이 있다.
 
 
분 포 :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혹카이도 이남, 황해, 동중국해.

습성과 서식처 : 서해안의 경우, 여름철 서해 연안에서 서식하던 무리는 9~10월이 되면 황해
 
 
중부로 이동하고, 그 후 계속하여 남하하여 12~1월에 제주도 부근에 도달하여 월동하고, 일부는 대마도 주변 해역까지 이동하며, 봄이 되면 북상한다. 동해안의 경우, 여름철에 동해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가 수온이 내려가는 9월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과 일본 연안에서 겨울철 월동을 한다.
 
산 란 : 산란기는 3~4월로서 암컷의 성숙체장은 약 30cm 이상, 수컷은 27cm 이상 으로 추정되고, 산란장은 해안에서 다소 떨어진 근해로 점착성이 강한 알을 낳는다.
 
성 장 : 부화 후 만 1년이면 체장 약 14cm, 2년이면 21cm, 3년이면 28cm, 4년이면 32cm로 성장하며, 체장은 40cm.
 
식 성 : 주로 먹는 먹이로서는 새우류, 게류, 오징어류 등이며, 어류를 먹는 비율은 낮은 편이다.
 
독 성 : 난소, 간장이 맹독, 껍질과 장은 강독이나 살과 정소에는 독이 없다.
 
한강, 금강, 임진강, 영산강, 낙동강 등의 서.남해로 흐르는 큰 강에 분포한다.
북한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한강과 만경강 하류에서는 하천 오염으로 사라졌으며 영산강 및 금강에서는 하구언 구축, 수질오염, 남획으로 인하여 극히 소수가 올라올 뿐이다.
임진강에는 아직도 소상하고 있으나 산란기의 남획으로 그 수가 격감하고 있다.
수질오염과 남획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황복 - 중국은 황허강 이나 양자강 유역 에서 주로 많이난다.
중국 에서는 돼지 고기를 옛부터 가장 진중하게 여기는 반면 바다 물고기로는
그만큼의가치를 느끼게하는 것을 복어라하여 하돈(河豚)이라한다.
일본서는 이황복을 메후구한다.
 
분 포 :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중부 이남, 황해, 동중국해.

서식장 : 근해의 바닥이 암초지대인 중층 해역에 주로 서식하고, 유영성이 강하여 행동반경이 광범위하다.
 
 
습성과 서식처 : 봄에는 산란하러 연안의 큰강 하구부근으로 몰려오고, 가을이 되면 다소 먼 바다로 나간다.
 
산 란 : 산란기는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5월이며, 산란장은 큰 강의 하구 부근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이다.
 
성 장 : 봄에 부화된 새끼는 그해 말경에는 15cm 전후로 성장하며, 전장 60cm.
 
식 성 : 새우류, 게류, 조개류, 오징어류, 작은 어류 등을 포식한다.
 
독 성 : 난소, 간장은 강독, 장에는 약한 독이 있지만 살, 껍질, 정소에는 독이 없다. 난소, 간장은 강독, 장에는 약한 독이 있지만 살, 껍질, 정소에는 독이 없다. 난소, 간장은 강독, 장에는 약한 독이 있지만 살, 껍질, 정소에는 독이 없다.
 
 
분 포 : 우리나라 남해, 일본 혹카이도 이남, 동중국해, 남중국해, 서태평양, 인도양.

서식장 :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대만 북부 해역에 이르는 대륙붕 가장자리로서 수심 100~200m되는 중층에 주로 서식한다.
 
 
습성과 서식처 : 생식소의 발달상태로 보아 산란기는 4~5월로 추정된다.
 
산 란 : 생식소의 발달상태로 보아 산란기는 4~5월로 추정된다.
 
성 장 : 주로 어획되는 크기는 가랑이체장 20~40cm이며, 이중 만 1년생은 약 25cm, 2년생은 30cm 전후로 추정되며, 체장은 40cm.
 
식 성 : 조개류, 새우류, 게류, 연체류 및 작은 어류 등을 포식한다.
 
독 성 :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주변에서 잡히는 것은 전혀 독이 없어 복국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남지나해에서 서식하는 것은 난소와 간장에 맹독이, 살에는 약한 독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수입하여 이용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
 
 
분 포 :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혹카이도 이남, 황해, 동중국해.

서식장 : 근해의 바닥이 암초지대인 저층에서 주로 서식한다.
 
 
습성과 서식처 : 봄이 되면 산란하며, 연안이나 내만 가까이 이동 하고 가을에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산 란 : 산란기는 2~3월인 이른 봄으로서 이 시기가 되면 연안이나, 내만의 얕은 바다로 이동해와 산란하며, 성숙체장은 보통 20~38cm.
 
성 장 : 전장 35cm.
 
식 성 : 조개종류와 새우류, 게류, 갑각류 및 작은 어류들을 주로 먹는다.
 
현재 전국 복국집에서 가장 많이 애용한다.
 
 
분 포 : 우리 나라 남부, 제주도, 일본 중부 이남, 류큐, 하와이

형태 : 몸통의 등 중앙에 융기선이 있다.
주둥이는 다소 나와 있으며, 복부에는 작은 가시가 있다.
 
몸 색깔은 등이 암갈색, 배는 청자색이며 폭이 좁은 청록색의 줄무늬가 2줄 있다.
배에는 청색 점이 산재한다.
성장함에 따라 몸 색깔과 무늬가 달라진다.
성어의 크기는 20cm 정도 된다.

생 태 : 연안의 암초가 있는 곳에 서식한다.
난소와 육질은 독이 없지만, 껍질은 맹독으로 알려져 있다.
식용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
 
그 이외에 꺼끔복. 노랑거북복. 관상용으로 이용하는 쌍가시 육각복 등 30여종의 복어들이 있지만 식용으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분 포 : 우리나라 남해, 일본, 중국, 대만.

서식장 : 다소 연안성 어종으로서 주로 중층해역을 헤엄쳐 다닌다.
 
 
습성과 서식처 : 체장이 4~10cm의 어릴 때에는 9월경 내만으로 이동해와 초겨울까지 내만에서 지내고 수온이 더욱 내려가면 바깥 바다로 이동해 간다.
 
산 란 : 산란기는 5~7월이며, 산란장은 바닥이 암초지대인 수심 50~60m되는 중층으로 추정된다.
 
성 장 : 부화후 만 1년이면 가랑이 체장 16~17cm, 2년이면 23cm 전후로 성장하며, 전장 약 35cm로 추정된다.
 
식 성 : 조개종류와 새우류, 게류, 갑각류 및 작은 어류들을 주로 먹는다.
 
현재 전국 복국집에서 가장 많이 애용한다.
 
출처 : 멍게비빔밥 쫄복국 복어요리사
글쓴이 : 발해를꿈꾸며 원글보기
메모 :

'▣ㅡㅡ바람따라 > 복어&생선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정]고니 손질하기  (0) 2009.04.14
[스크랩] [수정]모델 "자주복"  (0) 2009.04.14
[스크랩] 참복  (0) 2009.04.14
[스크랩] 연습사진  (0) 2009.04.14
복어  (0) 200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