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1[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1111%5B1%5D.jpg)
![19[2].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9%5B2%5D.jpg)
![20[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20%5B1%5D.jpg)
▶ 故 오승윤 화백 투신자살 조선닷컴 기사 바로가기
![1[2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5B26%5D.jpg)
![2[2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2%5B24%5D.jpg)
![3[28].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3%5B28%5D.jpg)
![4[1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4%5B17%5D.jpg)
![5[1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5%5B13%5D.jpg)
![6[1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6%5B13%5D.jpg)
![7[8].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7%5B8%5D.jpg)
![333[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333%5B6%5D.jpg)
![9[6].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9%5B6%5D.jpg)
![10[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0%5B4%5D.jpg)

오승윤 화백 (1939~2006)
오 화백은 1939년 개성에서 태어났고 8.15해방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이후 화순 동복으로 이주한 뒤 초등학교 6학년까지를 이곳에서 마쳤고 지금의 광주 지산동으로 옮겨왔다. 부친은 한국근대미술의 선봉 오지호 선생이며 가계는 근동이 알아주는 선비집안이었다. 그가 고교 3년이던1959년, 서울에서 있었던 전국학생실기대회에서 『소묘』로 최고상을 받았고 그것이 인연이 돼 미술대학에 진학하게 되었다.
그때 한국에는 추상미술의 물결이 유행처럼 밀려들어 너나없이 그 물결에 휩쓸리고 싶어했다. 그럴 때에도 오 화백은 그림의 정석은 튼튼한 기초에 있다고 생각하고 한국의 자연이나 풍물을 구상화로 표출했는데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부친의 영향이 컸다. 1974년부터는 전남대학교에 봉직하면서 예술대학을 창설했다. 그야말로 후진양성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다가 1980년 초 자신의 회화적 재충전을 위해 파리로 건너갔고 그때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아카데미 그랑드 쇼미에르 등 유명 미술관의 전시품을 감상하고 인체 그리기에 돌입했다. 오승윤 화백의 조형언어는 말하자면 원리 면에서는 '풍수'이지만 방법 면에서는 '오방정색'의 자기대입이라고 할 수 있다.
평론가인 빠뜨리스·드·라 뻬리헤르씨는 오승윤은 20세기 거장의 반열에 들면서 자기관의 조형기법을 갖춘 작가라고 평하였다. 오승윤 화백의 회화적 세계성은 우선 80년대를 분수령으로 탐색되고 창출된 것이다. 이제 오승윤 화백은 우리 민족의 정서와 자연을 담보로 한 거대한 화맥을 소유한 대부호가 되었다.
그리고 그것들을 채굴하면서 '이것은 꼼짝없는 오승윤만의 그림'이라 할만한 움직일 수 없는 세계를 세계인의 미감 위에 올려놓았다.(오승윤 화백 홈피에서)
![12[7].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2%5B7%5D.jpg)
![14[5].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4%5B5%5D.jpg)
![15[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5%5B4%5D.jpg)
![17[4].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7%5B4%5D.jpg)
![19[3].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9%5B3%5D.jpg)
전통과 현대성
빠뜨리스.드.라 뻬리헤르 - 미술평론가 「서로 상반되는 다양한 경향들이 영향을 미치는 교차로에서 그 길을 모색하는 이 시대에 한국화가 오승윤은 전통과 현대성 사이에서 완벽한 결합을 실현하고 있다.」 오승윤의 작품은 천년의 신화에 고취된 신비와 섬세함이 충만한 세계속으로 우리를 뛰어들게 한다. 그의 시적인 풍경들은 정신적 세계를 탐구하기 시작한 칸딘스키의 회화방식을 생각나게 한다. 오승윤 작품들의 배경은 마법적 공간을 연상시키는 자연, 물, 바람, 하늘로 구 성된 새로운 우주를 연상시키는 기호와 상징들로 덮여있다. 우리는 또한 성스러운 연못의 고요한 물위에 핀 연꽃에서 태어나는 여인들도 만날 수 있다.
「이 작가의 모든 작품에서 우연적인 것은 없다. 머뭇거림도 없고, 후회도 없다. 반면에 세월의 밤으로부터 온 언어들과 밀접하다. 작가는 그의 독특한 상형문자들을 재발명한다. 우리는 그의 작품에서 불모의 지성적 차원을 찾는 것이 아니고, 상징들이 전해주는 정신적이고 감정적인 차원을 다시 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오승윤은 영혼의 전언자가 된다. 마치 무당처럼 기록할 수 없는 지혜를 듣는 예술가의 감성으로 그는 전달의 통로가 된다.」
모든 가식적인 것과 공격성을 버린 세계를 상기시키는 그의 작품들은 균형과 조화가 지배한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에게 시각적 명상처럼 작용한다. 그것들은 우리 자신의 가장 깊은 곳까지 평화를 퍼지게하며, 우리를 본질의 중심에 놓이게 한다. 곧으며 솔직한 그의 색채들과 구성의 단순함으로 오승윤은 밝음과 부드러움이 가득한 윤나는 대기를 창조했다.

![22[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22%5B1%5D.jpg)
![23[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23%5B1%5D.jpg)



![11112[1].jpg](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10/11112%5B1%5D.jpg)



▶ 故 오승윤님 프로필 바로가기







▶ 故 오승윤님 홈페이지 바로가기

El condor pasa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